투데이김해 펼침

투데이김해

2024년 10월 30일(수) 오후 12시 18분

날씨

비
  • 온도 11℃
  • 습도 :0%
  • 강수확률 60%
  • 좋음미세먼지 29 ㎍/㎥
  • 좋음초미세먼지 15 ㎍/㎥
  • 좋음오존농도 0.025 ppm
김해시 인구 (2024년 9월말 기준)
555,792
투데이김해 닫기
수산물 방사능 안전정보 본문상단으로 이동

개요

장유는 오랜 역사의 향기가 깃들어 있는 고장이다.
오래전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首露王)의 처남 허보욱이 허황후를 따라 이 나라에 와서 이곳 장유에 절을 세우고 오랫동안 머물러 돌아가지 않다가 입적(장유불반 : 長遊不返)하여 후세에 장유화상(長遊和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장유산(지금의 태정산) 부근에 마을이 형성되자 ‘장유촌(長遊村)‘이라는 지명이 생겼고 이곳에 절을 세우고 절 이름을 ’장유사(長遊寺)‘라 하였다. ’유하촌(柳下村)‘은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유지앵소(柳技鶯巢 : 버드나무 가지에 있는 꾀꼬리 집)의 명당자리가 있다하여 불렀다고 전하는 반면에, 지명을 연구하는 학자는 김해부의 서쪽에 있는 들 부근에 형성된 마을에서 ’유등야(柳等也)‘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주장한다. 지금의 삼문리 능동 마을은 가락국시대 임금의 능(陵)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이며 젤미마을 아파트 지역 일부는 신라말기부터 향, 소, 부곡이라는 특수 부락의 하나인 ’제을미(齊乙彌, 젤미) 鄕‘이라고 불렀던 곳이다.
고려시대에는 ‘제을미향’, ‘장유촌’, ‘유하촌’의 세 마을로 형성되었고, 조선시대 광해군 8년부터 효종 7년까지 41년 동안(1616~1656)에는 지금의 신문리 용산(옛날 이름은 진골 : 鎭谷) 마을에 ‘신문진(新門鎭)’이 설치되어 경상도의 국방요지가 되었다. 조선중기 여지도서(與地圖書 : 1757~1765)의 김해진김해도호부(金海鎭金海都護府)에서는 ‘유등야면(柳等也面)’이, 호구총수(戶口總數 : 1789)에서는 유등야면에 말단 행정구역으로 18개 리(里)가 속한다고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다.
그 후 1810년(순조 10년)에 ‘유하면(柳下面)’으로 고쳤다가 1879년(고종 16년)에 다시 ‘유등야면(柳等也面)’으로 고치고 1885년(고종 22년)에 ‘장유면(長有面)’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888년(고종 25년)에는 장유면(長有面) 8개 리(부곡, 유하, 내덕, 무계, 대청, 삼문, 신문, 관동)와 수남면(水南面) 4개 리(율하, 장유, 응달, 수가)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1914년에 수남면이 장유면에 합병되었다. 그 후에 부산경남공동경마장을 조성하면서 2000년 1월 12일 수가리 ‘가동’ 마을이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에 편입되고,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 ‘장전’ 마을은 장유면에 편입되었다.

연혁

  • 고려시대 : 장유촌(長遊村)+ 유하촌(柳下村)+ 제을미향(齊乙彌鄕)
  • 조선중기 : 유등야면(柳等也面)
  • 정조 13년(1789년) : 18개리 설치[북포(北浦),하손(下孫), 부곡(釜谷), 유등야(柳等也), 내덕(內德), 외덕(外德),거물소(巨勿所), 신문(新門), 건림(件林), 대청(大淸), 제며(濟旀), 상점(上店),사기점(沙器店), 덕정(德亭),적항(赤項), 관동(寬洞), 장유(長遊), 태장(台長)]
  • 순조 10년(1810년) : 유하면(柳下面)
  • 고종 16년(1879년) : 유등야면(柳等也面)
  • 고종 22년(1885년) : 장유면(長有面)
  • 고종 25년(1888년) : 장유면(長有面) 8개리, 수남면(水南面) 4개리로 분리
  • 1914년 : 장유면(長有面) 12개리 통합[수남면(水南面) 흡수]
  • 2000. 1. 12 :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 장전(長田)마을이 김해시 편입, 수가리 가동마을 부산시 강서구 편입
  • 2013. 7. 1. : 장유면 3개동으로 분동
    • 1동 (유하동, 내덕동, 부곡동, 무계동, 신문동)
    • 2동 (삼문동, 대청동)
    • 3동 (장유동, 관동동, 율하동, 응달동, 수가동)
옛 시가지 사진 - 장유 옛 시가지 사진 - 장유
1990년 용지봉에서 바라본 장유면 전경 1990년 용지봉에서 바라본 장유면 전경
2002년 장유시가지 전경 2002년 장유시가지 전경

우리마을의 특징

  • 장유3동은 김해시의 최남단으로 창원시 진해구, 부산광역시 강서와 경계를하고 있고 북쪽으로는 장유1·2동, 칠산서부동과 접해 있다.
  • 고속도로, 국도와 인접해 있어 부산, 창원, 진해 등 외곽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김해외국어고 등 초·중·고등학교가 위치해 우수한 교육환경을 갖추었으며 정자나무공원, 덕정공원 등 자연 친화적인 녹지 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 율하신도시는 기적의 도서관, 어린이 교통공원, 유적공원, 카페거리 등 문화·역사·여가 공간과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잘 어우러져 있다.
  • 불모산과 굴암산 계곡에서 흘러 내려오는 율하천과 신리천은 청정 생태 자연하천으로 하천 좌우를 따라 산책로가 갖춰져 있고 굴암산 북쪽 신안마을에서 오르는 등산로는 많은 등산객들이 애용하고 있으며 신안계곡 또한 한여름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

지명유래

장유리(長有里) → 장유동(長有洞)

옛날, 장유촌(長遊村)으로 장유산(長遊山) 부근에 마을이 형성되자 ‘長遊’를 취하여 마을 이름이 되었고 ‘長遊里’를 자음으로 읽게 되면서 파생되어 ‘長有里’라고 한자로 표기하였다.

태정산 서쪽 기슭에 형성된 마을이며 현재는 ‘장유’와 ‘모산’ 2개 마을이 율하Ⅱ택지개발지구에 편입되었다.

  • 장유(長有)
  • 모산(牟山)
  • 옥녀봉(玉女峰)
  • 돌고개
  • 무금티 고개(陳峴 : 진현)
  • 웅현(熊峴)
  • 홈 다리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응달리(應達里) → 응달동(應達洞)

태정산 아래 응달(햇빛이 들지 아니하여 그늘진 곳) 쪽에 있는 마을로 태정리와 춘계리를 병합하였다.
그러나 지명을 연구하는 일부 학자는 금병산에서 연유하여 ‘북쪽 산 아래 있는 마을‘이라는 우리말 뜻에서 한자를 빌려 응달리라고 지명을 붙였다고 한다. 앞들은 대부분 갈대밭이었는데 부산시 강서구의 녹산 수문이 생긴 뒤 차츰 개간 되었으며 남해 제2고속도로지선이 마을 앞을 지나고 있다

  • 응달(應達)
  • 태정(台亭)
  • 용곡(舂谷)
  • 고리산(古里山)
  • 사현(寺峴)
  • 태정산(台亭山.360m)
  • 횟골(回谷)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수가리(水佳里) → 수가동(水佳洞)

조만강가에 길게 늘어져 있는 마을로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마을로 ‘수안리(水安里)’라 하였고 일부 지명을 연구하는 학자는 ‘조만강 안쪽에 형성된 마을‘ 이라는 우리말 뜻을 한자로 빌려 표기하였다 한다. 1914년 가동을 병합하고 수가리의 ‘水(수)’와 가동의 ’佳(가)‘를 합해 ’수가리‘로 지명이 바뀌었다. 부산경남공동경마장이 건립되면서 가동이 부산시 강서구에 편입되었고, 대신에 부산시 강서구의 장전 마을이 수가리에 편입되었다.

  • 수가(水佳)
  • 장전(長田)
  • 장말(場末)
  • 가동(佳洞)
  • 금병산(錦屛山)

[유적지, 기념물] 潮滿江 新作路紀念碑, 水佳里 貝塚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관동리(官洞里) → 관동동(官洞洞)

팔판산 아래 있으며 옛날 적항역의 역관이 있었던 곳으로 ‘관동’이라 불렀고, 1914년 화촌리와 신문리 일부를 병합하였다. 이곳에 명휘사와 화산재가 있다.

지명을 연구하는 학자 민긍기는 ‘김해의 지명’에서 ‘넓은 마을’, 이홍숙은 ‘김해의 지명전설’에서 ‘동쪽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우리말 뜻에서 한자를 빌려 ‘관동리’라 표기하였다고 한다.

  • 화촌(花村)
  • 춘화동(春花洞)
  • 화산제(華山齋)
  • 죽림(竹林)
  • 돌 곳
  • 덕정(德亭)
  • 신안(新安)
  • 팔판산(八坂山)
  • 반곡대(盤谷臺)

[유적지, 기념물] 官洞古墳群, 赤項驛址, 李弘鉉 施惠碑, 勉山 金善五志士碑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율하리(栗下里) → 율하동(栗下洞)

옛날, 김해부(金海府)에서 적항역(赤項驛 : 지금의 죽림 마을)을 지나 웅천현 (熊川峴)으로 넘어가는 율천현(栗川峴) 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율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지명을 연구하는 학자 민긍기는 ‘김해의 지명’에서 ‘불모산의 동쪽 기슭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우리말 뜻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1914년 이전까지 수남면(水南面)의 마지막 면 소재지가 있었으며 1914년 수남면이 장유면에 통합되면서 관동리 일부를 병합하였다.

대부분이 율하택지개발 지구에 편입되었고 김해외국어고등학교 앞을 지나는 도로의 산 아래 일부 지역만 남아 있다. 현재는 신리 마을은 모두 없어지고 구관동과 율하 마을의 일부만 조금 남아있다.

  • 율하(栗下)
  • 신리(新里)
  • 구관동(舊寬洞)
  • 부엉산
  • 율천현
  • 굴암산(窟庵山)
  • 장승배기(長丞배기)

[유적지, 기념물] 栗下里古墳群, 栗下里支石墓, 栗下齊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페이지담당 :
장유3동 총무팀
전화번호 :
055-359-892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